-
물 빈곤지수 WPI 뜻과 이해 총정리문화, 예술,여행/문화 2018. 12. 31. 00:06
물 빈곤지수 Water Povertty Index
국제기구를 중심으로 전세계 물 문제를 파악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물 빈곤지수 라는 것이 있습니다.
이 물 빈곤지수 WPI 의 뜻과 어떤식으로 이뤄지는지 이해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한국의 속담에 비유할만큼 자주 쓰는 표현중에 '돈을 물 쓰듯 한다' 란 표현이 있습니다. 이 이야기의 중점은 돈은 귀하고, 물은 흔하다 라는 뜻으로 쓰는 뜻이겠지요.
하지만 이러한 표현은 바뀌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. un 발표에서 [세계 수자원 개발 보고서] 에 따르면 한국의 수자원량이 세계 최하위권인 만성적 물 부족국가에 해당되기 때문입니다.
물 빈곤지수 WPI
물 빈곤지수는 단순히 물이 얼마나 존재하고 있는가에 대한 것 뿐만 아니라 얼마나 쉽게 물을 공급 받을 수 있는지, 깨끗한 물을 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소득 수준, 그리고 환경 문제등 모든 것을 고려하는 수치입니다.
좀 더 단순하게 표현한다면 물 빈곤지수란 물의 사용과 관련된 모든 환경을 고려하여 물부족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 입니다.
지구상의 70% 는 물로 이뤄져 있지만, 인간이 이를 이용하는 물은 1% 정도에 불과합니다. 때문에 이로인해 국가, 지역간의 물 분쟁도 일어나는 곳도 있습니다.
OECD 환경전망 2050 에서는 OECD 국가 중에서 유일하게 한국을 물 스트레스 비중이 40% 이상인 국가로 평가를 했으며, 세계 수자원개발보고서는 2050 년 20억~70억명의 인구가 물로 인한 잠재적 피해를 볼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.
이제는 돈을 물 쓰듯 한다 라는 표현이 아닌 '물을 돈 쓰듯 하는' 생활습관이 필요한 시대가 온 것은 아닐런지요.
댓글